[Fri/5/6/2022] Today I Learned
Team Project
나의 제안 - TypeScript 도입
우리의 프로젝트에 JavaScript 대신 TypeScript를 써 보는 것이 어떤지 제안을 했다. 햄디는 처음에 부담스럽다고 했지만 제이미가 예전 프로젝트에 적용했던 방식을 들어보고 적용해 보기로 했다. 아무래도 TS 초보인 만큼 완전히 다 알고 제대로 적용하기보다는 타입을 명시하는 정도로 감을 잡아보는 식으로 적용해 보기로 했다.
디자인 시안 완성_최종
어제 완성했다고 생각했던 디자인 시안을 오늘 정말로 완성했다. 시뮬레이션을 해보니 이것저것 추가해야 하는 것들이 많이 보였다. 로그인 부분도 구체화되고 그 외 다른 페이지들도 모달이나 버튼들을 더 추가해서 완성도를 높여주었다.
요구사항 분석
요구사항 분석 방법 - 실용주의 프런트 엔드 개발
작성 형식은 ~하면 ~할 수 있다 와 같은 형식으로 언제, 무엇을 하는지 정의하며, 하나의 기능만을 표현한다. 그리고 기획서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보면서 각각의 사용자
peter-cho.gitbook.io
User Story(사용자 스토리)를 작성하는 식으로 요구사항 분석을 진행했다. 프로젝트 분량이 많아서 일단 로그인 부분만 상세하게 하고 나머지 부분은 사다리 타기를 해서 분업해서 하기로 했다.
Atomic Design
Story 작성을 어느정도 마치고 난 다음에는 Atomic Design을 적용해보았다.
Effective Atomic Design
소프트웨어 개발 중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모듈화와 추상화 두 가지라고 할 수 있다. 웹 프론트엔드 업계는 이미 React, Vue.js, Angular와 같은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를 통해 끝을 달리는 추상화
kciter.so
위 글을 많이 참고했다. 참고를 했지만 역시나 Atom와 Molecule을 정하는 기준을 합의하는 게 오래 걸렸다.